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Nutrition
- β-mannan
- BacterPhage
- Phytase
- bacteriophage
- Charoen Pokphand Group
- reproduction
- Diseases of Swine
- Disease challenge
- β-mannanase
- Danish Crown
- CP Group
- CTCBIO
- Gut health
- Digestibility
- Exolution
- β-Mannanases
- Non-starch polysaccharide
- Xylannase
- CTCZYME
- 김인배박사
- egg production
- Palm kernel expeller
- broiler
- C.P. Group
- Pig
- Low Protein
- Amino acids and the pig placenta
- Beta-mannanases
- laying hens
- Today
- Total
CTCBIO Animal Bioscience Blog
Emulsifier as a Feed Additive in Poultry and Pigs 본문
ABSTRACT
Upadhaya, S.D., Yun, K.S., Zhao, P.Y., Lee, I.S. and Kim, I.H. 2019.
Emulsifier as a feed additive in poultry and pigs-A review.
Animal Nutrition and Feed Technology, 19: 323-336.
최근 사료 가격의 상승으로 인해 동물의 성능과 건강을 해치지 않으면서 사료비를 절감할 수 있 는 효과적인 전략을 찾기 위한 과학적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어린 동물은 천연 리파아제 생산량이 적고 담즙산염 생산량이 적어 지방 소화가 불완전하여 결과적으로 에너지원에 대한 요구량이 증가하고 사료 가 격이 인상되는 등 지방 흡수에 생리적 한계가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
영양학자들의 관심을 끌었 던 특별한 전략은 외인성 유화제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유화제는 서로 섞이지 않는 기름과 물과 같은 두 제 품의 혼합물을 안정화시키고 분산상의 소구의 유 착 을 방지하는 물질입니다.
유화제는 천연 또는 합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지방 소화율을 개선하고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켜 사료비를 절감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연구에 따르면 천연 및 합성 유화제의 선택은 친수성-친유성 균형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고합니다.
이 리뷰의 목적은 가금류와 돼지의 사료 첨가제로서 유화제의 사용에 대한 현재 지식을 요약 하는 것입니다.
Keywords: Emulsifier, Feed additive, Pig, Poultry, Performance
INTRODUCTION
지방과 오일은 높은 에너지 가치와 에너지 밀도로 인해 동물성 식단에서 중요한 에너지원입니다.
Pettigrew와 Moser(1991)에 따르면 지방과 오일의 에너지는 탄수화물 공급원보다 약 2.25배 높다고 합니다.
동물이 식이 지방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에너지의 양은 지방의 소화율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지방과 물은 잘 섞이지 않습니다.
담즙 산염은 이러한 혼합 과정에서 천연 유화제 역할을 합니다.
접촉면을 늘리려면 효소 리파아제가 있으면 작은 지방 방울이 형성됩니다.
이 효소는 췌장에서 생성되어 지방 분해를 돕습니다.
담즙산염과 같은 유화 분자가 부족하면 지방 소화율이 현저히 떨어집니다.
어린 동물은 천연 리파아제 생산 수준이 낮고 담즙염 생산 속도가 낮기 때문에 지 방을 흡수하는 데 생리적인 한계가 있습니다(Tancharoenrat et al., 2013; Tancharoenrat et al., 2014).
또한 유리 지방산이 많은 지방산 혼합물 은 모노 글리세라이드 형성이 부족하여 유화 능력이 떨어집니다 (Rovers, 2014).
또한 지질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지방산 유형, 지방 공급원 및 수준이 포함됩니다.
또한 사료 배합에서 가장 큰 비용은 에너지입니다.
따라서 경제성 측면에서 볼 때 이러한 원료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것은 매우 중요 합니다.
단식 동물의 비효율적인 에너지 이용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지방 소화율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집중되고 있습니다.
최근 영양학자들이 에너지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고려하고 있는 특정 전략은 흔히 "유화제"라고 불리는 물질의 사용입니다.
리파아제에 의해 효과적으로 소화되려면 먼저 지질을 유화시켜야 합니다.
유화제는 에멀젼의 기름 방울을 잘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지질의 소화와 흡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습니다.
에멀젼을 만들기 위한 유화제의 종류를 체계적으로 선택하는 것은 친수성-친유성 균형(HLB) 개념에 기반하며(Hasenhuettl, 2008), 적절한 유화제 조합이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유화제는 지방 소화율을 개선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식단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Maertens et al., 2013).
유화제는 때때로 단백질과 같은 다른 영양소의 흡수를 향상시키기도 합니다(Jones et al., 1992).
이 리뷰의 주요 목적은 유화제의 중요성과 단식 동물의 사료 첨가제로서 유화제의 적용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Emulsifier
유화제는 적절한 유통기한과 기능적 특성을 가진 안정적인 에멀젼을 형성하는 데 특히 중요한 성분입니다.
유화제는 친수성 헤드hydrophilic head와 소수성 테일hydrophobic tail로 구성됩니다.
친수성 헤드hydrophilic head는 수성상aqueous phase으로, 소수성 꼬리hydrophobic tail는 유성상oil phase으로 향합니다.
친수성 부분hydrophilic part은 자당 ,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소르비톨(propylene, glycol, glycerol, sorbitol) 또는 폴리글리세롤polyglycerol로 구성될 수 있으며 친유성 부분lipophilic part은 대두 유, 유채유, 코코넛유, 팜커널유와 같은 지방 및 오일에서 추출한 지방산으로 구성됩니다.
유화제는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고 에멀젼을 안정화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유화제는 표면 활성 물질이며 에멀젼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첫째, 에멀젼 형성을 촉진하고
둘째, 에멀젼 안정성을 촉진합니다.
지질은 유화제와 혼합됩니다.
장 내용물과 같은 수성 매질에서 지질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질을 유화제와 혼합하는데, 이는 최신 유화제가 수성 환경 내에서 지방 성분을 잘 분배할 수 있도록 물뿐만 아니라 지방에도 잘 용해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사료 산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합성 및 천연 유화제는 단백질, 다당류, 인지질phospholipids, 계면활성제surfactants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Kralovaand Sjoblom, 2009).
천연 유화제는 담즙bile이나 인지질phospholipids과 같은 동물의 체내에서 생성되는 유화제와 소일레시틴soylecithin과 같은 식물에서 생성되는 유화제입니다(Soares and Lopez-Bote, 2002).
리솔레시틴이나 리소포스파티딜콜린과 같은 유화제는 합성을 통해 변형된 합성 유화제입니다(Zhang et al., 2011).
The HLB system for emulsifier selection
유화제의 분류는 흔히 친수성 그룹과 친유성 그룹 간의 관계=HLB-System(친수성- 친유성 균형hydrophilic-lipophilic balance)으로 표현됩니다.
친수성-친유성 균형(hydrophilic-lipophilic balance, HLB) 은 유화제의 상대적인 물과 지질 용해도를 측정하는 척도입니다(Cassiday, 2014).
유화제에는 1에서 20까지의 숫자가 할당됩니다.
HLB 값이 낮은 유화제는 본질적으로 친유성인 반면 친수성 유화제는 더 높은 값을 갖습니다.
따라서 척도 번호 10은 친유성 유화제와 친수성 유화제 사이oil and water의 전환점입니다.
HLB가 10인 유화제는 기름과 물에 똑같이 끌립니다.
이 HLB 시스템은 비이온성 합성 유화제에도 매우 잘 적용될 수 있습니다.
HLB 값을 통해 유화제로서의 거동에 대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에멀젼을 만들기 위한 유화제 유형의 체계적인 선택은 친수성-친유성 균형(hydrophilic-lipophilic balance, HLB) 개념에 기반합니다(Hasenhuettl, 2008).
개별 유화제에 비해 적절한 유화제 조합이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Boyd et al., 1971).
Application of emulsifier in poultry and pigs diet
현재 가금류 및 양돈 사료에 다양한 유화제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 효과는 Table 1에 나와 있습니다.
유화제 보충의 개념은 사료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최신 기술로 사료 산업에 도입되었습니다(Ziggers, 2012).
유화제는 혼합되지 않는 두 개의 기름과 물 oil and water상 사이의 계면 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Hasenhuettl and Hartel, 2008).
어린 동물은 지방 소화 능력이 제한적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Lewis et al., 2000), 어린 병아리(Al-Marzooqi and Leeson, 1999)와 이유 후 자돈(Jones et al., 1992)의 지방 이용률 을 개선하기 위한 유화제 사용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졌습니다.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emulsifier in poultry
Fat digestibility, performance and production effects
육계의 높은 에너지 요구량을 충족시키기 위해 지방의 에너지 가치가 탄수화물과 단백질 보다 최소 두배 이상 높기 때문에 지방을 사료 에 첨가합니다.
지방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것 외에도 지방을 사료에 포함하면 지용성 비타민의 기호성과 흡수율이 향상되고 사료 공장의 먼지를 제어하며 면역계 활성화에 필수적인 지방산을 공급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습니다.
또한 지방을 첨가하면 음식물이 소화관을 통과하는 속도가 느려져 영양소의 소화와 흡수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어린 병아리의 담즙염 분비 능력은 제한적이기 때문에(Krogdahl, 1985) 식이 지방 이용률이 비효율적입니다.
유화제는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입니다.
Polin(1980)은 유화제를 병아리에게 먹이기 전에 지방과 혼합하면 육계에서 지방의 소화율이 증가한다고 보고했습니다.
리솔레시틴lysolecithin을 급여함으로써 사료 효율이 증가하고 십이지장, 회장 및 총장의 무게가 감소하는 것이 Khonyoung 등(2015)에 의해 입증되었습니다.
마찬가지로, 리솔레시틴lysolecithin을 급여함으로써 지방산 소화율 증가로 인한 육성기 성장성적의 개선도 보고되었습니다(Zhang et al., 2011).
유화제로서 레시틴lecithin을 첨가하면 병아리에게 공급되는 식이지방의 이용률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Roy et al., 2010).
유화제는 또한 지방 공급원과 동물의 연령에 따라 사료 전환율, 사료 섭취량 및 동물의 성적을 개선했습니다 (Cera et al., 1988; Li et al., 1990; Roy et al., 2010).
Cho et al.( 2012)과 Wang et al. (2016)은 저에너지 사료에 스테아로이 l-2- 락틸레이트 나트륨(sodium stearoy l-2-lactylate, (SSL))을 보충하면 육계에서 저에너지 사료의 부정적인 영향을 극복할 수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Bontempo et al. (2016)는 또한 식물성 이중 증류 올레산vegetal bi-distillated oleic acid과 글리세릴 폴리에틸렌 글리콜리시놀레이트glyceryl polyethylene glycolricinoleate로 구성된 새로운 합성 유화제의 보충이 비육용 닭의 성장 성능을 크게 향상시켰다고 언급했습니다.
저밀도 사료에서 유화제로 1, 3-diacylglycerol(0.075, 0.1 및 0.15 %)을 보충하면 육계의 성장 성능과 영양소 소화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Upadhaya et al., 2017).
Guerreiro Neto et al. (2011)의 보고에 따르면 지방 공급원과 유화제는 육계의 체중, 체중증가 및 사료 전환율(FCR)에 상호작용하는 영향을 미쳤습니다.
조지방 소화율, 건조 물질 (DM) 소화율, 가소화 에너지(ME)는 리솔레시틴lysolecithin이 보충된 기초 사료를 먹인 어린 육계가 보충하지 않은 기초 사료를 먹인 육계보다 더 높았습니다(Jansen, 2015).
이러한 사실을 고려할 때 유화제가 영양소 소화율 개선과 연관된 성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합니다.
산란계의 사료에 0~0.15% 범위의 리솔레시틴lysolecitihin을 보충하면 계란무게와 사료효율이 유의미하게 증가했습니다(Han et al., 2010a).
그러나 0.1% 리솔레시틴lysolecithin 또는 효소를 단독 또는 병용하여 먹였을 때 계란 생산량과 계란 무게에 미치는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Han et al., 2010b).
An et al.(1997)은 정제 홍화 레시틴purified safflower lecithin을 먹였을 때 계란 생산량과 일 일 계란 질량이 증가하고 간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그러나 사료 소비량과 계란 무게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이전 실험에서 레시틴lecithin은 오리의 지방 대사성을 증가시켰습니다(Zosangpuii et al., 2012).
리소인지질lysophospholipids의 보충은 육계의 도체 생산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Zampiga et al., 2016).
유화제가 생산 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다양하며 아직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Meat quality
저에너지 사료에 0.05% 스테아릴-2-락틸산나트륨sodium stearoyl-2-lactylate을 보충하면 35일째에 육계의 복부 지방 비율이 증가했습니다(Wang et al., 2016).
대두 레시틴 보충제(0.25%)는 도체 생산량을 감소시키고 40일령에 복부 지방 비율을 증가시켰지만, 고기의 산화 산패를 완화하여 도체 품질을 향상시켰습니다.(Boulos et al., 2011).
반면에 Raju et al. (2011)은 2.5 및 5% 용량의 쌀겨 리솔레시틴이 35일 령 육계의 복부 지방 비율을 감소시켰다고 밝혔습니다.
최근 연구에서 Zhao와 Kim (2017)은 0.05 및 0.10 % 리소인지질(lysophospholipid, LPL) 보충 사료를 먹인 육계가 28 일령에 복부지방 비율이 더 낮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Zhang (2010)도 담즙염, 포스파티딜콜린, 자 당 에스테르 및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의 혼합물로 구성된 유화제를 0.02, 0.035, 0.05 및 0.065 % 수준으로 육계 사료에 포함하면 d 42에서 복부 지방 비율이 감소한다고 보고했습니다.
한편 0.065% 유화제 첨가 사료를 먹인 경우 유방과 허벅지의 지방 비율이 증가하여 유화제가 체내 지질 순환을 증가시키고 근육의 지방 침착을 개선하는 동시에 복부지방을 감소시키고 근육의 질을 개선 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Guerreiro Neto et al. (2011)과 Cho et al. (2012)은 육계에 0.05% 유화제를 식이 보충한 결과 35일령과 42일령 에서 복부 지방 비율의 차이를 관찰하지 못했다고 보고했습니다.
저밀도 사료에 합성 유화제인 1, 3-디아실글리세롤(1,3-diacylglycerol DAG)을 보충해도 육계의 육질에는 물방울 손실을 제외하고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Upadhaya et al., 2017).
복부 지방 비율에 대한 다른 결과는 식단의 유화제와 수준이 다를뿐만 아니라 샘플링 기간이 다르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추가 연구는 유화제의 식이 포함이 복부 지방 비율, 근육 내 지방 비율 및 간 비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커니즘에 초점을 맞춰야합니다.
Health effects
혈청 지질은 인간과 동물의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합니다.
Amal et al. (2002)은 지방 조직과 간 사이의 지방산 이동의 대사 조절과 기초 조정은 지단백질lipoprotein과 혈장 지질plasma lipids의 농도로 대표된다고 밝혔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외인성 유화제는 혈청 지질을 낮추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42일령에 기본 사료와 비교하여 LPL 보충 사료를 섭취한 조류에서 더 낮았습니다(Malapure et al., 2011).
Huang et al. (2007)의 연구에서도 대두 레시틴을 첨가한 사료가 대조사료 보다 콜레스테롤과 중성 지방 농도가 낮다는 것을 입증했습니다.
Zhao et al. (2017)의 연구에서는 14일째에 LPL 보충 제를 섭취한 쥐의 LDL,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농도가 감소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Roy et al. (2010)도 유화제(글리세롤 폴리에틸렌 글리콜 리시놀레이트glycerol polyethylene glycol ricinoleate)를 보충하면 d 20에서 LDL 및 총 콜레스테롤 농도가 감소한다는 유사한 결과를 발견했지만, d39에서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최근 연구에서 SSL과 Tween 20 (0.05, 0 . 075 및 0.10 %)의 혼합물을 보충하면 유화제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LDL 콜레스 테롤이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Upadhaya et al., 2018).
반대로 저에너지 사료에 스테아로일-2- 락틸 레이트 나트륨sodium stearoyl-2-lactylate (Wang et al., 2016) 및 1, 3- 디아실 글리세롤1, 3-diacylglycerol (Upadhaya et al., 2017)을 첨가하여 육계 혈 청 의 혈청 중성 지방, 총 콜레스테롤, HDL 및 LDL 농도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Jones et al. (1992)은 레시틴을 먹인 돼지의 혈청 중성지방이 낮은 이유는 섭취한 지방의 흡수 및 대사 속도가 빨라졌기 때문일 수 있다고 제안했습니다.
그 메커니즘은 킬로미크론이 더 느린 속도로 혈액으로 분비되거나 더 빠른 속도로 혈액에서 제거되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사료 첨가제로 유화제를 포함하면 혈청 지질 프로필을 개선하여 건강에 유망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Effects of dietary emulsifier in pigs
Performance effects and nutrient digestibility
Jones et al.(1992) 은 대두유soybean oil나 수지tallow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육성돈 사료에 레시틴lecithin이나 리솔레시틴lysolecithin과 같은 유화제를 첨가했을 때 지방 소화율이 증가했지만, 돼지기름lard이 포함된 사료에서는 그렇지 않았다고 보고했습니다.
Jin et al. (1998)도 돼지기름lard을 에너지원으로 하고 레시틴lecithin을 첨가한 기초 사료를 먹인 이유자돈이 유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기초 사료를 먹인 돼지보다 일당평균증체량(ADG), 일당평균사료섭취량(ADFI), 증체:사료비율(G:F)이 높았다고 보고했습니다.
또한 Kim et al. (2008)은 레시틴lecithin 보충제가 비육돈에서 ADG를 증가시키고 사료 전환율(FCR)을 감소시키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그러나 Overland et al. (1993a,b)은 대두 레시틴 보충 사료를 먹인 이유자돈이나 비육돈에서 대조사료를 먹인 돼지에 비해 성장 성능과 지방 소화율이 개선되지 않았다고 보고했습니다.
유화제가 성장 성능에 미치는 영향은 동물성 지방을 사용할 때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Overland et al., 1993a).
Xing et al. (2004)도 라드lard가 5% 함유된 사료에 LPL을 보충하면 15~35일령 및 전체기간(d 0~35일) 동안 ADG가 개선되었지만, 라드lard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 ADFI와 G:F는 LPL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보고했습니다.
성장 성능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는 사료에 LPL 올레시틴orlecithin을 첨가하여 사료와 에너지 섭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기호성이 증가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Overland and Sundstol, 1995).
모돈의 경우, 사료에 3% LPL을 포함하면 체중(BW) 손실과 등지방 두께 손실이 감소하는 동시에 겉보기 영 양소 소화율과 우유 영양소 농도가 개선되었습니다(Zhao et al., 2017).
반면, 에너지원이 대두유 또는 라드일 경우 레시틴 또는 LPL은 이유자돈의 지방 소화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Soares and Lopez-Bote, 2002).
얻어진 일관되지 않은 결과는 다양한 공급원과 사용된 유화제 및 식이 지질의 수준이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Jones et al., 1992; Dierick and Decuypere, 2004).
Cera et al. (1988) and Li et al. (1990)은 코코넛유, 옥수수유 , 대두유와 같은 식물성 기름이 수지유tallow와 같은 동물성 기름보다 소화가 더 잘 된다고 보고했는데, 이는 일부 이전 연구에서 효과가 관찰되지 않은 이유 중 하나일 수 있습니다.
수지유tallow는 레시틴이나 LPL을 첨가했을 때 소화가 더 잘 되었지만, 라드는 유화제를 첨가했을 때 소화가 덜 되었습니다(Jones et al., 1992).
Zhao 등(2015)은 LPL 사료를 먹인 돼지에서 이유 후 첫 2주와 다음 3주 동안 DM, GE 및 조지방의 겉보기총관소화율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ATTD)이 증가했다고 보고했는데, 이는 수지사료tallow diet에 레시틴lecithin을 첨가하면 이유자돈의 DM, GE 및 N의 ATTD가 증가한다고 보고한 Jin et al. (1998)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입니다.
성장기 돼지에게 LPL을 공급했을 때도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습니다(Dierick and Decuypere, 2004).
Xing et al.(2004)은 라드를 첨가하면 DM, 조지방, 조단백질 및 GE의 ATTD가 증가한다고 보고했습니다.
이와 유사하게 Over land 등(1993a)은 대두유를 첨가하면 DM, GE, 조지방 및 CP 의 ATTD가 개선되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반대로, 이유자돈에 레시틴(Over land and Sundstol, 1995) 또는 LPL(Xing et al.,2004)을 보충하면 DM, CP 또는 GE의 ATTD가 선 형적으로 감소했습니다.
그러나 Soares와 Lopez-Bote (2002)는 이유 후 첫 2 주 동안 또는 다음 2 주 동 안 이유자돈의 DM, CP 및 조 섬유질의 소화율에 대한식이 LPL 보충제의 영향을 관찰하지 못했습니다.
Jones et al. (1992)에 따르면, 탤로tallow와 레시틴lecithin을 사용했을 때 이유후 0일부터 이유 후 7일까지 ADG가 크게 개선되었지만, 이유 후 35일이 가까워질수록 긍정적인 효과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경향은 돼지의 일령이 증가함에 따라 성장 성적에 대한 유익한 효과가 약화되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유화제의 효과는 동물의 연령과 사료에 사용된 지방의 종류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Meat quality
육류의 가장 중요한 품질 특성은 부드러움tenderness입니다.
따라서 돼지고기의 부드러움을 개선하는 것은 소비자 만족도를 높이는 데 특히 중요합니다.
레시틴(0, 0.4, 2, 8%)을 사료에 첨가하면 씹는맛chewiness과 드레싱 비율dressing percentage이 개선되고, 돼지고기 L* values값은 감소하고 a* values값은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Akit et al., 2014).
개선된 씹는맛chewiness은 유화제를 사료에 포함시켰을 때 콜라겐 함량이 감소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식이 레시틴을 7.5% 첨가한 돼지고기는 대조군과 0.3% 및 1.5% 레시틴 첨가 처리에 비해 리놀레산linoleic acid을 유의하게 증가시키고 미리스틱산myristic acid 수치를 감소시켰습니다(D'Souza et al., 2015).
또한, 0.3% 레시틴 처리 그룹이 아닌 1.5% 및 7.5% 레시틴 처리 그룹에서 롱기시무스 흉상근m. Longissimus thoracis의 경도hardness 및 씹는맛chewiness이 감소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또 다른 연구에서 D’Souza et al. (2012)은 도축 전 14주 동안 어미 소의 사료에 0.3% 식이 레시틴을 보충하면 M. 세미텐디노수스M. semitendinosus의 경도와 씹는 맛이 감소한다고 보고했습니다.
일부 연구에서 유화제가 육질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일부 입증되었지만, 육질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Health effects
돼지기름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기초사료에 레시틴을 첨가한 이유자돈의 혈청콜레스테롤 농도는 돼지기름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사료를 먹인 돼지보다 낮았지만 돼지기름에 리솔레시틴을 첨가한 돼지는 돼지기름에 리솔레시틴을 첨가한 사료보다 콜레스테롤 농도가 높았습니다(Jones et al., 1992).
이는 유화제와 에너지원이 총 콜레스테롤 농도 에 미치는 상호 작용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HDL 또는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 농도는 식이 지방 공급원의 영향을 받지 않았습니다.(soybean oil, poultry fat, and a blend of 50% soybean oil and 50% poultry fat or emulsifier addition) (Guerreiro Neto et al., 2011).
Zhao et al. (2015)의 연구에서는 0.05 및 0.10% LPL을 첨가해도 LDL 콜레스테롤에 유의미한 영향이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유화제가 중성지방이나 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커니즘은 아직 명확하지 않습니다.
종합하면 지방공급원과 유화제 유형이 동물의 혈청 지질 개선에 영향력 있는 역할을 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CONCLUSIONS
외인성 영양 유화제는 지방 소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동물성 사료에 유화제를 첨가했을 때 소화가 잘 되는 지방보다 소화가 잘 안 되는 지방의 소화효율이 더 높았 습니다.
또한, 이러한 긍정적인 효과는 높은 수준의 지방이 식단에 포함될 때 더욱 두드러집니다.
육계나 돼지 사료에 사용되는 기름의 종류도 유화제의 효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동물의 일령도 식단에서 유화제의 효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영양 유화제의 기능은 장쇄 지방산, 특히 포화 지방산의 소화율을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따라서 유화제는 동물성 및 식물성 지방의 소화 효율을 높이고 성능과 생산 특성을 개선하기 때문에 가금류 및 양돈 산업에서 경제적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유화제의 첨가는 다양한 결과가 나타났지만 혈청 지질과 육질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영양 유화제는 성장 매개변수를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육계 및 돼지 사료의 에너지 감소를 개선하거나 보완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더 나은 결과를 얻으려면 유화제와 오일의 종류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HLB를 기반으로 한 유화제의 혼합은 단일 유화제보다 더 나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따라서 0에서 20까지의 범위에서 지방 및 수용성을 나타내는 HLB를 선택 과정의 일부로 사용해야 합니다.
HLB 수치가 낮을수록 지용성이 높고, 수치가 높을수록 수용성이 높습니다.
'Emulsifi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Effects of dietary oil sources and fat extraction methods on apparent and standardized ileal digestibility of fat and fatty acids in growing pigs (1) | 2024.12.23 |
---|---|
단위가축에서 유화제의 배합비 적용 (0) | 2024.12.23 |
HLB Value and Calculation (0) | 2023.07.24 |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 (HLB) (0) | 2023.07.24 |
What are phospholipids(PL)? (0) | 2023.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