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Nutrition
- Amino acids and the pig placenta
- Gut health
- Charoen Pokphand Group
- Disease challenge
- Phytase
- β-mannan
- Beta-mannanases
- β-mannanase
- Exolution
- C.P. Group
- CTCZYME
- CTCBIO
- Non-starch polysaccharide
- laying hens
- Palm kernel expeller
- 김인배박사
- Digestibility
- bacteriophage
- BacterPhage
- Diseases of Swine
- broiler
- Xylannase
- egg production
- β-Mannanases
- Danish Crown
- Pig
- reproduction
- Low Protein
- CP Group
- Today
- Total
CTCBIO Animal Bioscience Blog
Effects of dietary energy levels and β-mannanase supplementation in a high mannan-based diet during lactation on reproductive performanc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nd milk composition in multiparous sows 본문
Effects of dietary energy levels and β-mannanase supplementation in a high mannan-based diet during lactation on reproductive performanc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nd milk composition in multiparous sows
Kwon, KiBeom 2023. 6. 19. 11:36
Effects of dietary energy levels and β-mannanase supplementation in a high mannan-based diet during lactation on reproductive performanc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nd milk composition in multiparous sows
Jin Soo Kim, Abdolreza Hosseindoust, In Kyu Ju, Xiaoguaug Yang, Su Hyup Lee, Hyun Suk Noh, Jae Hwan Lee & Byung Jo Chae
To cite this article: Jin Soo Kim, Abdolreza Hosseindoust, In Kyu Ju, Xiaoguaug Yang, Su Hyup Lee, Hyun Suk Noh, Jae Hwan Lee & Byung Jo Chae (2018)
Effects of dietary energy levels and β-mannanase supplementation in a high mannan-based diet during lactation on reproductive performanc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nd milk composition in multiparous sows,
Italian Journal of Animal Science, 17:1, 128-134, DOI: 10.1080/1828051X.2017.1345663
To link to this article: https://doi.org/10.1080/1828051X.2017.1345663
Jin Soo Kima, Abdolreza Hosseindousta, In Kyu Jua, Xiaoguaug Yangbb, Su Hyup Leec, Hyun Suk Nohb, Jae Hwan Leeb and Byung Jo Chaea
a Department of Animal Life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Republic of Korea;
bCTC Bio Inc., Seoul, Republic of Korea;
cSouthern Research and Outreach Center, University of Minnesota, Waseca, MN, USA
ABSTRACT
수유 중 다산모돈의 번식 능력에 대한 β-mannanase 및 에너지 수준의 식이 보충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두 가지 실험을 수행했습니다.
Exp. 1에서, 30마리의 다산모돈이 3가지 처리(400 및 800 단위 β-mannanase)에 무작위로 할당되었습니다.
Exp. 2에서, 60마리의 다산모돈에게 3250 또는 3350 kcal ME/kg 사료와 0 또는 400 단위의 β-mannanase를 포함하는 사료를 2X2 계승 배열로 급여했습니다.
수유 중 암퇘지 체중(BW) 손실의 선형 감소는 β-mannanase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관찰되었습니다.
수유 중 BW 변화는 고열량 사료나 β-mannanase 사료를 먹인 모돈에서 상당히 낮았습니다.
β-mannanase 보충은 건조 물질, 총 에너지 및 만노스의 겉보기 총 소화관 소화율을 증가시켰습니다.
β-mannanase로 보충된 식단 또는 고열량 식단은 유지방 수치를 증가시켰습니다.
또한 고열량 식단은 우유의 유당 수치를 증가시켰습니다.
총체적으로, β-mannanase의 식이 포함이 영양소의 소화율을 개선하고 수유 중 모돈의 체중 손실을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Introduction
수유기 동안 모돈 사료 섭취는 유지, 태아 성장 및 수유에 필요한 영양소를 충족시키기에 충분하지 않아 신체 비축량의 동원으로 이어집니다(Imaeda and Yoshioka 2007; Lawlor and Lynch 2007).
임신과 수유기 동안 신체 단백질과 등지방의 과도한 손실은 사산 새끼 돼지의 비율 증가(Maes et al. 2004), 그리고 복당 성장 감소(Clowes et al. 2003), 이유에서 발정까지의 기간 연장, 수태율 감소 및 모돈 생산 수명 단축(De Rensis et al. 2005; Serenius et al. 2006)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수유중인 암퇘지의 사료 섭취량을 늘리면 등지방 깊이와 체중(BW) 손실이 줄어들고 한배새끼 체중 증가가 증가합니다(Eissen et al. 2003).
따라서 등지방과 체지방 손실 정도를 줄이기 위해 사료의 영양 밀도를 높이는 동시에 자손의 성장 속도와 체중 증가를 강화하는 것이 암퇘지 산업에서 일반적인 관행입니다.
Palm kernel meal, rapeseed meal and distiller dried grains 은 대두박(SBM) 및 옥수수에 비해 영양가가 유사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동물 사료로 상당한 관심을 받고 있다(Seo et al. 2015; Kim, Ingale et al. 2016).
그러나 이러한 사료는 β-mannan과 같은 비전분 다당류(NSP)가 풍부하여 돼지가 NSP를 가수분해하는 데 필요한 효소를 분비하지 않기 때문에 돼지 사료에 사용을 제한합니다(Ao et al. 2011).
β-mannan은 돼지 사료의 총 NSP 함량의 15-37%(for soybean to palm)를 차지합니다(CVB 1998).
결과적으로 NSP-가수분해 효소의 보충은 돼지 사료의 영양소 소화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Jo et al. 2012; Walsh et al. 2012; Kim et al. 2013).
Walsh et al.(2012)은 NSP-가수분해 효소의 식이 보충이 분만 전, 수유기, 젖을 뗀 후 출산하기 사이의 기간에 에너지 섭취를 증가시켰다고 보고했습니다.
Lee et al.(2011)에 따르면, 비육돈 사료에 만나나제를 함유한 효소 프리믹스를 첨가하여 사료 전환율을 향상시켰다.
외인성 효소의 보충이 암퇘지의 수유기 동안 영양소의 소화율을 증가시켰지만 임신기 동안에는 유사한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습니다(De Souza et al. 2007).
그러나 외인성 효소 보충의 유익한 효과는 기질 유형, 돼지의 생리학적 상태 및 사료의 NSP 함량에 따라 다릅니다(Adeola and Cowieson 2011; Lee et al. 2011).
따라서 돼지 사료에서 NSP의 유형과 함량에 따라 외인성 효소를 보충하는 것이 잠재적인 이점을 얻는 데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본 실험의 목적은 수유기 동안 β-mannanase의 식이 보충이 다산모돈의 번식 능력과 초유 및 우유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Materials and methods
Animals and management
본 연구에 사용된 모든 암퇘지는 인공 수정되었습니다.
발정 후 2회, Pharvision B-모드 초음파 기계(AV 2100V; Ambisea Tech. Corp, Shenzhen, China)를 사용하여 번식 후 d 30에 임신이 감지 및 확인되었다.
임신 기간 동안 모든 암퇘지는 슬레이트 콘크리트 바닥이 깔린 개별 임신 축사(2.05 x 1.08m)에 수용되었습니다.
모든 암퇘지는 임신 109일에 분만 스톨(2.14 x 2.15m)로 옮겼습니다.
각 분만틀에는 단일 피더가 있으며 물은 항상 젖꼭지 급수기를 통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분만실 온도는 분만 전 20℃로 유지하다가 수유 첫 2주 동안은 24℃로 높였다가 다시 20℃로 낮추었다.
새끼 돼지를 위한 온열 패드는 분만 상자의 양쪽에 위치하고 36℃로 유지되었습니다.
암퇘지는 각 분만 상자의 사료 통에 있는 급수기를 통해 자유롭게 물에 접근할 수 있었습니다.
급이기는 하루에 3번 점검하여 필요할 때 다시 채웠습니다.
※ Exp.1에서 30마리의 다산 교배 암퇘지(Landrace Yorkshire; 평균 초기 BW, 237.7kg)가 산차와 체중을 기준으로 선택되었습니다.
모돈을 2개의 블록(3산차와 4산차, 산차당 15두)으로 나누고 임신 109일에 3회 처리(처리당 10두)에 균등하게 분배했습니다.
β-mannanase는 옥수수 대두 기반 식단에 0, 400 또는 800(U/kg 식단)으로 추가되었습니다.
모든 포유돈사료는 3350kcal/kg의 ME, 20.13% CP 및 1.15% 총 라이신을 함유하고 임의로 급식하였다.
※ Exp.2에서, 60마리의 다산 교배 암퇘지(Landrace Yorkshire; 평균 초기 체중, 257.7kg)는 임신 109일에 처리의 2x 2 요인 배열을 사용하여 무작위 완전 블록 실험 설계에서 4가지 처리에 할당되었습니다.
모돈을 3개의 산차 그룹(산차 2, 3, 4, 산차당 20두)으로 차단하고 균등하게 4개의 처리에 할당했습니다.
암퇘지에게 3300 또는 3350 kcal/kg 식이 ME 에 0 또는 400 U/kg의 β-mannanase가 포함된 식이를 먹였습니다.
두 실험 모두 분만 다음 날부터 시작하여 분만 후 약 7일 동안 최대 배급량에 도달할 때까지(자돈당 2kg + 0.6kg) 배급량을 하루에 1kg씩 점진적으로 늘렸습니다.
실제 사료 섭취량을 결정하기 위해 소비되지 않은 사료의 무게를 매일 측정했습니다.
모든 암퇘지에게 NRC(1998)의 수유 요건에 따라 일반 옥수수 대두박을 기본으로 한 사료를 급여했습니다(Table 1).
Table 1. Ingredient and nutrient compositions of sow lactation diets (g/kg, as fed).
a Supplied per kg diet: 9600 U vitamin A, 1800 U vitamin D3, 24 mg vitamin E, 1.5 mg vitamin B1, 12 mg vitamin B2, 2.4 mg vitamin B6, 0.045mg vitamin B12, 1.5 mg vitamin K3, 24 mg pantothenic acid, 45 mg niacin, 0.09 mg biotin, 0.39 mg folic acid, 7.2 mg ethoxyquin.
bSupplied per kg diet: 150 mg Fe, 96 mg Cu, 72 mg Zn, 46.5 mg Mn, 0.9 mg I, 0.9 mg Co, 0.3 mg Se.
Measurements and data collection
생체중은 임신 중 d 109(분만 전)와 수유 중 d 24(이유)에 측정되었습니다.
10번째 늑골의 암퇘지 등지방 두께는 초음파 장치(Agroscan A16, 프랑스)를 사용하여 임신 d 109 및 이유기(수유 d 24 6 1)에 기록되었습니다.
수유 중 암퇘지의 등지방 두께 변화는 임신 109일의 등지방 두께와 수유 24일의 등지방 두께의 차이를 계산하여 추정하였다.
출생 및 생존 자돈수, 출생 및 이유 시 체중(kg) 및 이유자돈수와 같은 표준 한배새끼 특성을 기록했습니다.
각 모돈의 사료 섭취량(kg/d)과 이유-발정 간격(d)도 기록되었습니다.
새끼 돼지의 평균 1일 증체량(ADG) 값은 최종 체중에서 첫 번째 체중을 뺀 값을 이유 날짜(일)로 나눈 값에 이유자돈 돼지의 수를 곱한 값으로 계산했습니다.
에너지와 영양소의 겉보기 총 소화관 소화율(ATTD)에 대한 식이 요법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유 14일에서 24일까지 각 식이에 0.25% 산화크롬(비활성 소화불량 지시약)을 포함시켰습니다.
건물(DM), 총 에너지(GE) 및 조단백질(CP)의 ATTD를 결정하기 위해 각 실험의 마지막 4일 동안 각 우리의 바닥에서 배설물 채취 샘플을 수집했습니다.
대변 샘플을 펜 안에 모으고 60℃에서 72시간 동안 강제 공기 건조 오븐에서 건조시켰습니다.
1mm 스크린을 사용하여 Wiley 밀(Thomas Model 4 Wiley Mill, Thomas Scientific, Swedesboro, NJ)에서 분쇄하고 화학 분석에 사용합니다.
Englyst와 Cummings(1984)의 방법에 따라 사료 성분, 사료 및 배설물 시료의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만노스, 갈락토스 및 포도당 함량을 평가했습니다.
실험 식단과 배설물 샘플을 AOAC(2007) 방법에 따라 DM(Method 930.15) 및 CP(Method 990.03)에 대해 3회 분석했습니다.
식이 및 대변의 총 에너지는 폭탄 풍량계(모델 1261, Parr Instrument Co., Moline, IL)로 측정했습니다.
크롬 농도는 Fenton과 Fenton(1979)의 절차에 따라 자동화된 분광광도계(Jasco V-650, Jasco Corp., Tokyo, Japan)로 측정되었습니다.
약 25ml의 초유 및 우유 샘플을 산후 1일 및 10일에 각각의 모돈으로부터 수동으로 수집하여 구성을 평가했습니다.
젖 분비를 자극하기 위해 암퇘지에게 1mL의 옥시토신(1U/mL)을 투여했습니다.
알코올 스왑 후 모든 기능 유두에서 우유를 수동으로 수집했습니다.
우유 샘플을 즉시 20℃에서 동결시키고 적외선 우유 분석기(Milko Scan 133B Analyser; Foss Electric, Hillerød, Denmark)를 사용하여 분석했습니다.
수유 1일(분만 후) 및 21일(젖 떼기, 새끼 돼지 제거 후)에 항응고제 없이 일회용 진공 테이너 튜브를 사용하여 0830에서 0930 사이의 모든 암퇘지로부터 경정맥 천자에 의해 10mL 혈액 샘플을 수집했습니다(Becton Dickinson, Franklin, NJ).
원심분리(4C에서 15분 동안 3000g) 후, 혈청 샘플을 분리하여 20C에 보관하고 나중에 혈액 대사물(트리아실글리세리드, BUN 및 포도당) 및 인슐린에 대해 분석했습니다.
상업용 키트(Fujifilm Corp., Saitama, Japan)는 자동 화학 분석기(Fuji Dri-Chem 3500i, Fujifilm Corp.)를 사용하여 혈액 대사 산물을 분석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Statistical analyses
Exp.1에서는 GLM 절차(SAS Inst. Inc. Cary, NC)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을 수행했습니다.
선형 및 2차 대비는 식이 β-mannanase 수준(0, 400 및 800 U/kg)의 효과를 비교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개별 모돈은 모든 변수의 분석을 위한 실험 단위로 사용되었습니다.
Exp.2에서 데이터는 무작위 블록에서 치료의 2x2 요인 배열로 분석되었습니다.
식이 에너지 수준, β-mannanase 및 이들의 상호 작용의 주요 효과는 SAS의 MIXED 절차에 의해 결정되었습니다.
0.05의 확률 값은 두 실험 모두에서 중요한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Results
Sow and litter performance
암퇘지 번식 능력에 대한 β-mannanase 보충의 효과는 Tables 2 (Exp.1) 및 Tables 3 (Exp. 2)에 나와 있습니다.
Exp.1에서, β-mannanase 보충 수준을 높이면 수유기 동안 모돈의 체중 손실이 감소했습니다(linear, p < 0.05).
대조적으로, 식이 처리는 암퇘지의 등지방 두께, 사료 섭취량 및 이유-발정 간격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유사하게, 산자수와 출생 시 및 이유 시의 체중은 식이 치료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습니다.
Exp.2에서는 측정된 모든 매개변수에 대해 에너지와 β-mannanase 사이의 상호작용이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식이 에너지 증가와 β-mannanase 보충은 수유 중 모돈의 체중 손실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습니다(p < 0.05).
그러나 식이 에너지 수준과 β-mannanase 보충은 수유기 동안 암퇘지의 등지방 두께, 출생 시 산자수 및 체중 및 이유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Tables 3).
Table 2. Effects of β-mannanase supplementation on reproductive performance of multiparous sows(Exp. 1).
Table 3. Effects of dietary energy levels and β-mannanase supplementation on reproductive performance of multiparous sows(Exp. 2).
Blood metabolites
β-mannanase의 식이 수준을 높이는 것은 모돈에 있어서 분만 후 및 이유 시 혈액 대사 산물(트리아실글리세리드, 포도당, BUN 및 인슐린)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p > .05) (Table 4).
Table 4. Effects of β-mannanase supplementation on blood profiles of sows during gestation and lactation.
Nutrient digestibility
식이의 에너지 수준과 β-mannanase 보충 사이에는 상호 작용이 관찰되지 않았습니다(Table. 5).
Exp.2에서 DM, GE, CP, xylose, mannose, galactose 및 glucose의 ATTD는 식이 에너지 수준의 영향을 받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아라비노스 소화율은 고열량 식단에서 더 큰 경향이 있었습니다(p=0.06).
β-mannanase가 보충된 사료를 먹인 암퇘지는 DM, GE 및 mannose의 ATTD가 더 컸습니다(p < 0.05).
또한, 식이 β-mannanase는 갈락토스의 소화율을 향상시키는 경향이 있었습니다(p=0.06).
Table 5. Effects of dietary energy level and β-mannanase supplementation on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of nutrients in multiparous sows (Exp. 2).
Colostrum and milk composition
Exp.2에서 고에너지 사료를 먹인 모돈은 저에너지 사료를 먹인 모돈보다 지방과 유당 함량이 더 높은 우유를 생산했습니다(p < 0.05).
또한, β-mannanase 보충은 우유의 유당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습니다(p < .05).
그러나 식이 에너지 수준과 초유 및 우유 조성에 대한 β-mannanase 사이에는 상호작용(p > 0.05)이 없었습니다(Table 6).
Table 6. Effects of dietary energy level and β-mannanase supplementation on colostrum and milk composition in multiparous sows (Exp. 2).
Discussion
NSP는 비전분 섬유질을 분해하는 데 필요한 효소가 부족하기 때문에 돼지에 의해 제대로 소화되지 않습니다(Bach-Knudsen 및 Jorgensen 2001).
현재 연구 결과는 고에너지 수준의 식이 또는 β-mannanase 보충 식이를 먹인 수유중인 암퇘지가 수유 중 체중 손실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식이 만난의 분해를 목표로 함으로써 DM 소화율과 영양소 이용률이 증가하여 모돈에게 더 많은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많은 NSP는 전분과 단백질을 캡슐화하고 소화물의 점도를 증가시켜 영양소 소화율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Kim et al. 2005).
여러 이전 연구에서 보고된 바와 같이, 돼지 사료에 외인성 효소를 첨가하면 사료에 존재하는 NSP의 가수분해를 촉진하여 돼지의 영양소 이용, 소화율 및 성장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Kiarie et al. 2010; Jo et al. 2012; Walsh et al. 2012).
저자 실험실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β-mannanase를 포함하는 식이는 돼지 사료에 0.36 MJ/kg의 ME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Kim et al. 2013).
본 연구는 β-mannanase가 NSP의 이용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수유 중인 암퇘지를 위한 사료의 영양소 이용과 에너지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입증했습니다.
체지방의 과도한 동원은 활동 중인 모돈에서 흔히 발생하며 주로 최적이 아닌 사료 섭취와 우유 생산을 지원하기 위한 증가된 에너지 요구에 의해 유발됩니다(Lawlor and Lynch. 2007).
수유 중인 암퇘지의 사료 섭취량을 늘리면 등지방 깊이와 체중 손실이 모두 감소하고 한배새끼 체중 증가도 증가합니다(Eissen et al. 2003).
수유기 동안 에너지 섭취를 늘리는 일반적인 방법은 식단의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것입니다(O'Grady and Lynch 1978).
또한, 외인성 효소를 이용한 식이 보충에 의한 영양소 이용률 증가는 돼지의 성적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Kim et al. 2013).
현재 연구에서 β-mannanase의 식이 보충제는 수유 중 암퇘지의 체중 감소에 이점을 제공했습니다.
현재 결과와 달리, Walsh 등(2012)은 임신 및 수유기 동안 외인성 효소를 투여받은 모돈에서 사료 섭취량이 증가하고 등지방이 두꺼워지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따라서, 이 연구와 현재 연구 사이에 발견된 외인성 효소 보충의 효과에 대한 상충되는 결과는 외인성 효소의 유형과 용량 및 연구된 식단의 NSP 함량의 차이 때문일 수 있습니다.
현재 연구에서 β-mannanase의 식이 포함은 수유기 및 이유-발정기 간격 동안 사료 섭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β-mannanase를 투여받은 암퇘지의 이유-발정 간격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이는 β-mannanase에 의해 제공되는 증가된 식이 에너지가 유의미한 차이를 발휘하기에 불충분함을 나타냅니다.
이유-발정 간격은 종종 수유 중 체중 및 상태의 손실과 관련이 있으며 이유-발정 간격은 수유 중 사료 섭취량을 증가시켜 줄일 수 있습니다(Kim, Hosseindoust et al. 2016).
본 연구에서 이유-발정 간격에 대한 영향이 없는 것은 β-mannanase 유무에 관계없이 사료를 먹인 수유중인 암퇘지의 유사한 사료 섭취 때문일 수 있습니다.
최근에 Walsh 등(2012)은 외인성 효소 복합체의 식이 포함으로 수유중인 암퇘지의 사료 섭취량이 증가했지만 암퇘지의 이유-발정 간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Walsh et al.(2012) 및 현재 실험과 대조적으로 Ji and Kim(2004)은 탄수화물 혼합 효소가 보충된 사료를 먹인 모돈의 이유에서 발정까지의 간격이 감소하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현재 연구에서 식이 요법은 출생 및 이유 시 산자수와 체중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유사하게, Walsh 등(2012)은 식이 외인성 효소 복합체가 생존자돈수, 사망, 출생 체중, 이유자돈수, 이유체중 및 자돈의 ADG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다시 말하지만 이것은 외인성 효소가 있거나 없는 사료를 먹인 수유중인 암퇘지의 비슷한 사료 섭취량과 신체 상태 때문일 수 있습니다.
Ji와 Kim(2004)은 첫 수유기 동안 탄수화물 가수분해 효소 혼합물로 사료를 보충하면 체중 손실과 발정까지의 재귀발정일수를 줄여 암퇘지의 번식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그러나 이 개선 사항은 후속 패리티로 성공적으로 이월되지 않았습니다.
보충 β-mannanase의 수준을 높이는 것은 임신과 수유 중 혈액 트리아실글리세리드, 포도당, BUN 및 인슐린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이전 연구와 일치합니다(Jo et al. 2012; Kim et al. 2013).
혈액 트리아실글리세리드, 포도당 및 BUN에 대한 β-mannanase의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현재의 결과와는 대조적으로 Yoon 등(2010)은 β-mannanase가 보충된 사료를 먹인 성장기 돼지에서 혈당 농도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결과의 이러한 불일치는 성장 단계 및 다이어트 유형의 차이로 인한 것일 수 있습니다.
현재 연구에서 모돈 사료에 β-mannanase를 포함시킨 식이는 수유기 동안 DM 소화율과 에너지를 증가시켰습니다.
우리의 결과는 De Souza 등(2007)이 보고한 데이터와 일치합니다.
그는 수유기 동안 DM과 CP의 회장 및 총관 소화율 증가를 관찰했지만 임신 중 영양소의 회장 및 총관 소화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만난의 높은 장내 점도는 이전에 영양소 이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Kim et al. 2005).
β-mannanase 효소의 주요 영향은 세포벽 투과성을 증가시키고 장쇄 다당류를 분해하여 영양소의 소화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만난 가수분해 때문입니다.
만난은 복잡한 구조에 영양소를 가두어 점성 때문에 위장관에서의 흡수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모유 구성은 식이 에너지 함량과 β-mannanase 모두에 의해 영향을 받았습니다.
고열량 사료를 급여한 모돈은 저열량 사료를 급여한 암퇘지에 비해 우유의 지방 및 유당 농도가 더 높았는데, 이는 아마도 두 사료의 지방 함량 차이 때문일 것입니다.
이전 연구에서 Drochner(1989)는 식이 지방 함량과 유지방 농도 사이의 선형 관계를 보고했습니다.
유사한 결과가 Yang 등(2008)에 의해 보고되었는데, 그는 고열량 식단이 우유의 지방 함량을 높인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β-mannanase 보충으로 관찰된 증가된 유지방 함량은 부분적으로 DM의 개선된 소화율 및 에너지 활용으로 인한 것일 수 있습니다.
현재 연구와 달리 Skrzypczak 등(2015)은 모돈의 초유와 우유에서 발견되는 지방 및 지방산 수준의 차이가 자돈 사육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했습니다.
Conclusions
우리의 데이터는 β-mannanase의 식이 포함이 수유 중 영양소 소화율을 개선하고 체중 손실을 줄일 가능성이 있지만 복당성장과 초유 및 우유의 구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