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CP Group
- Xylannase
- broiler
- β-mannanase
- CTCZYME
- Disease challenge
- Charoen Pokphand Group
- BacterPhage
- Non-starch polysaccharide
- β-Mannanases
- Nutrition
- laying hens
- reproduction
- Phytase
- Diseases of Swine
- Beta-mannanases
- Gut health
- Palm kernel expeller
- Pig
- CTCBIO
- Amino acids and the pig placenta
- egg production
- 김인배박사
- Digestibility
- bacteriophage
- C.P. Group
- β-mannan
- Danish Crown
- Exolution
- Low Protein
Archives
- Today
- Total
CTCBIO Animal Bioscience Blog
Bacteriophage의 사료 첨가가 반추위 발효성상에 미치는영향 본문
BacterioPhage/BacterioPhage Ruminant
Bacteriophage의 사료 첨가가 반추위 발효성상에 미치는영향
CTCBIO 2021. 2. 22. 17:10순천대학교 (2014) in research report
실험디자인
• 반추위 In vitro 실험
• 실험처리:(1) 대조구 (2)사료내 0.5% 박테리오파지 첨가 (3) 사료내 1.0% 박테리오파지 첨가
• 박테리오파지 첨가제의 표적병원성 미생물
Salmonella (typhimurium, enteritidis, choleraesuis,andderby),
Staphylococcusaureus,Escherichiacoli(K88,K99,andF41),
Clostridium perfringens (Type A and C)
• 배양시간 : 48시간
주요 결과 및 결론
• 사료내 1.0% 박테리오파지 첨가는 메탄(12%) 및 이산화탄소(13%) 발생량을 감소시킴(P < 0.05; Figure 36)
• 사료내 1.0% 박테리오파지 첨가는 Lactobacillus 균총수(53%)를 증가시킴 (P<0.05; Figure 37)
• 하지만, In vitro 실험결과 암모니아 발생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음
In vitro 반추위내 1.0% 박테리오파지의 첨가
- 메탄 및 이산화탄소 발생량 감소
- Lactobacillus 균총수 증가
'BacterioPhage > BacterioPhage Rumina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