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Diseases of Swine
- 김인배박사
- β-mannanase
- Low Protein
- Non-starch polysaccharide
- Disease challenge
- Danish Crown
- β-Mannanases
- Charoen Pokphand Group
- BacterPhage
- laying hens
- CTCBIO
- CTCZYME
- Gut health
- Amino acids and the pig placenta
- Xylannase
- Palm kernel expeller
- broiler
- C.P. Group
- Beta-mannanases
- Nutrition
- bacteriophage
- egg production
- Digestibility
- Phytase
- Exolution
- β-mannan
- CP Group
- Pig
- reproduction
- Today
- 0
- Total
- 9,711
CTCBIO Animal Bioscience Blog

Dima White , Roshan Adhikari , Jinquan Wang , Chongxiao Chen ,Jae Hwan Lee , Woo Kyun Kim PII: S0032-5791(21)00346-1 DOI: https://doi.org/10.1016/j.psj.2021.101312 Reference: PSJ 101312 To appear in: Poultry Science Received date: 21 February 2021 Accepted date: 1 June 2021 Abstract β-mannan은 껍질을 벗기고 껍질을 벗긴 대두에서 발견되는 비전분 다당류로, 대두 가공의 건조-토스트 단계에서 생존할 수 있고 가금류에서 항영양 효과가 있습니다. β-mannanase는 β-mannan..

Objective & Methods 연구의 목적은 β-mannanase 첨가가 육계의 성장 성능, 도체 특성, 배설물 미생물, 혈액 성분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35일간 총 680마리의 육계(Ross 308) 병아리는 17마리/pen, 10pens/treatment β-mannanase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44% 또는 48% 조단백질(CP) 대두박(SBM) 처리구. Results 48% SBM 처리구에서 FCR이 1~14일 기간동안 개선(p

CONCLUSIONS & APPLICATIONS 1. 오리 사료에 β-mannanase (0.01% ~ 0.20%, 800,000U/kg)를 첨가시 14d BW가 78g(0.01%) 증가하고 21d BW가 106g(0.10%) 증가 2. 14d까지 사료 전환율은 0.15(0.01% 및 0.20%), 21d까지 0.09(0.01%) 개선 3. β-mannanase를 7d에 45.2(0.01%), 14d에 88.2(0.02%), 21에 54.5(0.10%) 첨가하여 생산성 지수가 향상 4. β-mannanase를 첨가하면 회장 길이가 4cm 증가(0.01% 및 0.10%), 회장 분해의 점도가 0.74cP 감소(0.05%), 16.7μm 더 큰 토굴 깊이(0.10%), 64.5 μm 증가 융모 높이(0.10..

SBM에서 b-mannanase가 사료내 세포벽의 가용화 및 mannan oligosaccharides 생성을 조사하기 위해 시험관내 분석 수행 자료 이 연구는 상업적인 용량 수준 적용시 효소의 효능을 현미경으로 평가한 최초의 연구입니다. 1. Introduction NSP 분해 효소 첨가는 사료에서의 대사 가능한 에너지를 증가시킵니다. 가정된 세 가지 주요 작용 모드는 (1) 가축 소화기간내 점도 감소 (2) 세포벽을 구성하는 특정 중합체의 가용화에 의한 세포벽 파괴로 캡슐화된 전분/단백질을 방출시키며 (3) 세포벽을 분해하면서 가용성 올리고당의 생성되는 프리바이오틱 효과(Bedford, 2018) b-mannanases 및 xylanases와 같은 NSP 분해 효소의 첨가는 영양소 소화율을 개선하고 ..

Zheng L, Cho SH, Kang CW, Lee KW, Kim KE, An BK ISSN 1516-635X 2020 / v.22 / n.1 / 001-008 http://dx.doi.org/10.1590/1806-9061-2019-1180 Authors • Zheng L(I,III) https://orcid.org/0000-0001-6938-9603 • Cho SH(I,III) https://orcid.org/0000-0002-2807-2175 • Kang CW(I) https://orcid.org/0000-0002-2762-0096 • Lee KW(I) https://orcid.org/0000-0002-3533-7979 • Kim KE(II) https://orcid.org/0000-0002-83..